소식

요즘 금시세 미쳤다! 국제금값 국내금값 금시세 금테크

냐옹별대장 2024. 4. 17. 10:25
728x90
반응형

골드바

 

요즘 시대 또 하나의 자산으로 떠오른 '금'

 

우리는 호황과 불황을 가리지 않고 늘 한가지 관심은 끊이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.

바로 '제태크' '자산관리' '저축' 이런 금융과 관련된 키워드는 언제나 관심을 끌어왔던 최고의 관심사였지요.

 

'금값의 고공행진' 요즘 자주보는 기사 제목입니다. 

전세계가 코로나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등을 겪으면서 불안전한 자산보다는 안전한 자산을 선호하는 추세가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. 

물론 가상자산인 비트코인의 강세도 있지만 '금'은 그야말로 비트코인 이전부터 고전적인 안정자산으로 분류가 가능할것 같은데요.

 

네이버 금시세

오늘 오전 기준 검색했을때 금시세 입니다. 

1년대 30%가까이 올랐다고 하니 엄청나게 오른거죠? 

저 어릴때만해도 반값도 안됐는데 말이쥬;;; 

 

내가 가지고 있는 금 어떻게 관리해야 좋을까?

 

저 역시 결혼당시에 산 한냥짜리 조그만 덩어리 2개가 있어요 결혼반지도 순금으로 해서 그떈 몰랐죠 그때가 삿던거였다는것을..ㅠ

그때도 20만원 초반대였는데 지금은 거의 2배가까이 올랐으니 보증서랑 잘 가지고 있긴한데 약간의 아쉬움이 느껴집니다. 더 살걸...

여러분은 보통 어떤식으로 관리하시나요? 요즘에는 계속 상승세라 아무래도 추가 구매나 신규구매는 조금 조심스러워 지기도 하네요.. 

금통장이나 실물골드바 구매등을 권해주시는 곳도 있긴한데. 계속 오르는 시기에 무엇을 하든 리스크가 큰건 어쩔 수 없는 현실입니다. 

 

금테크 방법 5가지 알아보자!

그래도 우리는 이 안전자산을 가지고 얼마나 금테크를 잘 할 수 있는지 종류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아야 합니다. 

금은 안전자신이기에 금융위기가 오면 그 가치가 더 올라가고 빛이 나는데요. 주기적으로 오는 금융위기를 대비하여 미리미리 준비하고 공부하여 둔다면 잘 대처할 수 있겠죠? 

 

1. 골드뱅킹 = 금통장

! 은해엥서 쉽게 만들 수 있다.

- 사고팔때 수수류 1%

- 차익을 보면 수수류 15.4%

2. 금펀드

+CMA, 위탁계좌에서 손쉽게 매수가능.

- 금광회사에서 주식을 사는 개념이기 때문에 금가격과 동일하게 움직이진 않는다.

- 장기간 보유시 보수부담

3. 금선물 ETF

국내 주식시장에서 사는 ETF

- 주식매수하는 것과 같아서 쉽게 접근가능.

+ 펀드대비 보수가 낮은 편

- 원달러 헷지가 되어 있어서 널리 투자를 함께 할 수 없다. 

4. 금현물 ETF

미국 주식시장에서 사는 ETF

+ 달러로매수

+ 보수가 낮은편

+금선물이 아니라 금현물로 담을 수 있다.

- 수익이 많이 나면 양도소득세 부담

5. KRX금현물 

증권사에서 전용계좌를 만들고 1g씩 담을 수 있고, 출고 신청도 가능

+ 매매차익 비과세, 배당소득 비과세 혜택

+ 금융소득종합과세 비대상

+장내 거래서 부가가치세 면제

+ 증권서 수수료 0.2 ~ 0.3% 정도

 

 

리스크나 세금문제에서 비교적 유리한 5번 방법이 가장 좋아보이네요^^ 정부에서도 금거래를 활성화하기위해 밀어주는 분위기다보니 저런식의 좋은 조건으로 구매유도를 하는 것 같아요!!! 

이럴때 제도적인 부분들을 이용하여 영리한 금테크 해보시길 바랄게요! 

728x90
반응형